
구조역학을 처음 시작할 때, BMD(Bending Moment Diagram, 굽힘모멘트선도) 표현방법이 교재마다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왜 다를까요? 어떤 교재들은 정모멘트(positive moment, M+)를 위로 향하게 표현하고, 또 다른 교재들은 아래로 향하게 표시합니다.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요? 둘 다 맞습니다. 현대 역학분야의 선구자인 Stephen P. Timoshenko는 수학 그래프의 논리적 표현방식 그대로 양(+)의 값은 무조건 상향하여 표시합니다. 이를 따르는 대부분의 재료역학 관련 서적들과 일부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관련 서적들에서도 이 표현 방식을 따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또한 어떤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관련 서적들에서는 BMD에서 만큼은 양(+)의 값을 하향하여 표..

각궁은 합성궁 각궁(horn bow, 角弓)은 합성궁(composited bow)입니다. 나무로 만든 기본 활대에 휨인장을 받는 바깥면에 힘줄을 붙이고, 휨압축을 받는 안쪽면에 얇게 켠 뿔을 붙입니다. 각궁은 활줄을 거는 순간부터 다른 종류의 활들보다 더 큰 휨응력이 활대에 도입됩니다. 본체 나무에 휨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인장연단(바깥면)에는 인장에 강한 소나 고래 힘줄이 나무로는 부족한 휨인장응력을 크게 분담하여 활이 부러지지 않도록 안전성을 높이며, 압축연단(안쪽면)에는 압축에 강한 뿔이 휨압축응력을 발휘하여 인장연단에 발생하는 인장응력 부담을 줄여주면서도 활 전체가 더 큰 휨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휨강도가 크다는 것은 탄성복원력도 크다는 것이므로 활시위를 조금만 당겼다 놓아도 활의..

차도에 근접한 콘크리트에 대한 제빙화학제(de-icing agents) 영향범위 및 건축구조물의 내구성 평가시 그 대상 고찰 KDS 14 20 40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 표 4.1-1 노출범주 및 등급 주 4) 차도로부터 수평방향 10m, 수직방향 5m 이내에 있는 모든 콘크리트 노출면은 제빙화학제에 직접 노출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또한 도로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기 쉬운 신축이음(expansion joint) 아래에 있는 교각 상부도 제빙화학제에 직접 노출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상기 내용은 표 4.1-1 노출범주 ES(해양환경, 제빙화학제 등 염화물)의 노출등급 ES4, '건습이 반복되면서 해수 또는 염화물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조건에 해당하는 사례로서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

현재풍속, 평균풍속, 최대풍속, 순간최대풍속, 기본풍속, 설계풍속의 정의 기상청 관측소에서 풍속을 측정하는 방법은 풍속계의 풍속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신호를 0.25초마다의 물리량을 순간값으로 변환한 값입니다. 초당 4개의 순간값이 기록됩니다. 현재풍속은 10초마다의 과거 40개의 순간값을 평균한 값입니다. 평균풍속에는 1분 평균풍속과 10분 평균풍속이 있는데, 1분 평균풍속은 1분마다 과거 1분간의 6개 현재풍속을 평균한 값이고, 10분 평균풍속은 10개의 1분 평균풍속을 평균한 값입니다. 최대풍속은 나라마다 기준이 다르며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의 10분 평균풍속들 144개(24시간×60분/10분) 값 중 최대값입니다. 순간최대풍속은 1초마다 3초 이동평균값 중에서 최대값입니다. 즉, 1초마다 해당 1초..

지표면조도는 지표면의 거칠기 상태로서 바람의 속도가 수목이나 건축물의 높이와 밀집상태에 의해 마찰이 생기면서 감소되는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A, B, C, D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지표면에 수목이나 건축물이 촘촘할수록 바람의 진행을 방해하는 효과가 커서 지표면에서의 풍속도 크게 낮아집니다. 또한 이러한 수목이나 건축물이 높을수록 이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이러한 지표면에서 풍속은 가장 낮고 위로 점차 올라갈수록 증가합니다. ■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그 수준에서 가장 불리한 높이 수준에서의 풍속이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단순화시킨 일정한 풍속을 설계풍속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이 높이를 '대기경계층 시작높이(zb)'라고 합니다. 지표면조도 A에서는 20m, B에서는 15m, C에서는..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18.1.2(1) 조항에 따르면, "소방배관과 스프링쿨러시스템 등 인명안전을 위해 지진 후에도 반드시 기능하여야 하는 비구조요소, 또한 피난경로상의 계단, 캐노피, 비상유도등, 중량칸막이벽 등 손상시 피난경로확보에 지장을 주는 비구조요소와 대형 창고형 매장 등에 설치되어 일반 대중에게 개방된 적재장치" 등은 비구조요소 중요도계수 Ip를 (가장 높은 수준의) 1.5로 합니다. 비상유도등의 종류 화재나 지진 등 비상 재난시 사람들에게 피난경로를 안내하는 비상유도등은 소방청고시 「유도등 및 유도표시의 화재안전기준(NFSC303)」에서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으로 구분합니다. 비상유도등, 내진설계를 반드시..

■ 내진등급 특 - 내진등급 [특] 에 해당하는 건축물에서 비구조요소의 성능목표는 인명안전(L.S Level) 성능수준입니다. - 내진등급 [특] 수준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건축물은 중요도 (특)에 속하는 건축물입니다. 건축물의 중요도 대상 (특) (1)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3)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4)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축물 (1) (1)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

■ 내진등급 Ⅰ - 내진등급 Ⅰ 에 해당하는 건축물에서 비구조요소의 성능목표는 인명안전(L.S Level) 성능수준입니다. - 내진등급 Ⅰ 수준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건축물은 중요도 (1)에 속하는 건축물입니다. 건축물의 중요도 대상 (특) (1)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3)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4)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축물 (1) (1)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3) 연..

■ 내진등급 Ⅱ - 내진등급 Ⅱ 에 해당하는 건축물에서 비구조요소의 성능목표는 인명안전(L.S Level) 성능수준입니다. - 내진등급 Ⅱ 수준으로 설계되어야 하는 건축물은 중요도 (2) 또는 (3)에 속하는 건축물입니다. 건축물의 중요도 대상 (특) (1)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이상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국 (3) 종합병원, 수술시설이나 응급시설이 있는 병원 (4) 지진과 태풍 또는 다른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한 건축물 (1) (1)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2) 연면적 1,000 m² 미만인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청사⋅외국공관⋅소방서⋅발전소⋅방송국⋅전신전화..

강도가 높은 철근을 사용할수록 적은 철근량으로도 부재의 저항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지나치게 촘촘한 철근배치로 인한 콘크리트와의 재료분리 우려가 줄어서 구조적 품질확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러나 휨부재에서 인장측 주근의 간격이 지나치게 커지면서 균열발생 가능성도 우려되고, 특히 지진 등에 대해서 부재의 연성거동을 결정하는 후프나 스트럽 철근 등의 강도가 높을 수록 연성거동 능력은 저하될 수 있어서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철근 가격이 급등하면 단가가 높더라도 높은 강도의 철근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철근량을 크게 줄여줄 수 있어서 발주자나 설계자에게는 큰 매력일 수 있겠으나, 높은 강도의 철근을 적용해서는 안되는 부위가 있고, 높은 강도의 철근을 사용함에 있어서 주의를 기울..
건물지진규모분석연구서비스(주)
e-mail : bmtars@nate.com
IN KOREA
CALL : 1833-9875
FAX : 0505-300-9875
OUT OF KOREA
CALL : 82-1833-9875
FAX : 82-505-300-9875
- Total
- 837,265
- Today
- 129
- Yesterday
- 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