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하중의 종류와 조합에 대해 살펴보고, 비교적 설명이 간단한 고정하중에 대해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하중종류하중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크게 12가지 하중이 있습니다. - 고정하중(D, Dead Load)- 활하중(L, Live Load)- 지붕활하중(Lr, Roof Live Load)- 적설하중(S, Snow Load)- 풍하중(W, Wind Load)- 지진하중(E, Earthquake Load)- 횡압력(H, Hydraulic and Soil Pressure)- 온도하중(T, Thermal Load)- 유체압(F, Fluid Pressure)- 운반하중(M, Moving Load)- 빗물하중(R, Rain Load)- 기타하중(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돌발하중 Ak 등)통상의 건축물 구조설계..
앞서 KBC카테고리 1편에서는 금번에 개정된 건축구조기준 KBC2016에서 변경된 내용을 개략 살펴봤고, 2편부터는 각 변경내용 및 변경되지 않았지만 중요한 내용에 대해 조금 깊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건축구조기준의 목적, 건축물의 중요도, 구조설계법 □ 건축구조기준 KBC2016의 목적 건축구조기준의 목적은 '건축물 및 공작물의 안전성, 내구성, 사용성, 친환경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안전성(safety)은 건축구조물의 예상되는 수명기간 동안 최대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구조물의 성능, 내구성(sustainabiluty, durability)은 건축구조물의 안전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장기간에 걸친 외부의 화학적, 기계적, 물리적작용에 저항하여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처음 설계조건 대로 ..
2016년 5월 31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317호에 의거 건축구조기준이 7년만에 대대적으로 개정되었습니다.건축구조기술자 뿐만 아니라, 최근 지진으로 인해 내진설계·구조설계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일반인들께서도 「건축구조기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건축구조기준│KBC」영어로 Korea Building Code이며, 건축구조전문가들은 KBC라는 약칭을 실무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이 안전한 구조를 갖기 위한 최소기준'(국토교통부령.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3조제1항)입니다.KBC의 발전예전에는 철근콘크리트, 철골, 조적, 목구조 등등 각기 다른 구조를 다루는 학회 또는 협회마다 기준이 있었고 법적인 강제성이 없었습니다.2005년 「건축구조설계기준│KB..
건물지진규모분석연구서비스(주)
e-mail : bmtars@nate.com
IN KOREA
CALL : 1833-9875
FAX : 0505-300-9875
OUT OF KOREA
CALL : 82-1833-9875
FAX : 82-505-300-9875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