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내 복도나 계단 뿐만 아니라, 옥상 난간에도 많이 사용되는 철재난간에 대한 내용입니다. 철재난간은 풍압이 작용하는 막힘이 거의 없어서 콘크리트 난간벽이나 유리난간보다 안전에 조금더 유리한 조건을 갖습니다. 그러나 난간은 손스침하중을 고려해야 하고, 철재난간도 예외없이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손스침하중은 유사활하중이라고 해서 사람이 손으로 밀고 당기고 누르거나 몸으로 기대거나 부딪힐 때 난간이 최소 0.8kN/m(=81.6kg/m)의 등분포하중 또는 0.9kN(=91.8kg)의 집중하중에 견뎌야 한다는 것입니다. ωL=0.8kN/m ωu=1.6×0.8=1.28kN/m @(post)=1200㎜ Pu=1.28×1.2=1.536kN H=1300-500=800㎜ Mu=1.536×0.8=1.229kN·m post..
전편 활하중에 이어서, 활하중 저감과 유사활하중 및 기타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활하중 저감계수] 활하중 저감계수가 왜 필요할까요? 실제로 건물의 바닥 전체에 기본등분포활하중이 모두 재하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기본등분포활하중이 모두 재하된다고 가정하여 구조설계를 하는 경우 실제보다 과한 부재설계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이고 경제적인 부재설계를 위하여 활하중 저감계수를 적용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조설계에서는 설계자가 다양한 변수를 우려하여 보수적인 설계를 하는 경우, 또는 저감계수를 하나하나 부재 조건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시간적으로나 노력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는 사례는 적습니다. 다만 기존 구조물에 대해서 구조안전검토나 정밀안전진단시 중력하..
건물지진규모분석연구서비스(주)
e-mail : bmtars@nate.com
IN KOREA
CALL : 1833-9875
FAX : 0505-300-9875
OUT OF KOREA
CALL : 82-1833-9875
FAX : 82-505-300-9875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