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하중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금번 KBC2016에서는 실제 상황이 더욱 잘 반영되었다고 생각됩니다. 그 내용도 함께 그리고 깊게 살펴 보겠습니다. KBC2016 기본등분포활하중 (KN/㎡) 기본집중활하중 (KN) 무엇이 어떻게 왜 바뀌었나요?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모일 가능성에 대비해 모든 용도의 로비 및 1층 복도는 5KN/㎡로 상향 적용했고, 1층 이외의 모든 복도에 대해서는 학교·도서관·사무실·병원은 4KN/㎡로 상향, 집회 및 유흥장은 5KN/㎡로 상향 적용했으며, 그외의 모든 건물에서는 해당 복도를 출입하는 공간의 바닥활하중을 그대로 따르도록 분명하게 명기했습니다. 화재시 많은 사람들이 몰릴 수 있고 이삿짐이 쌓일 수 있는 발코니도 해당 출입하는 공간의 바닥활하중에 1.5배(최대 5KN/㎡이내..
이번 장에서는 하중의 종류와 조합에 대해 살펴보고, 비교적 설명이 간단한 고정하중에 대해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하중종류하중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크게 12가지 하중이 있습니다. - 고정하중(D, Dead Load)- 활하중(L, Live Load)- 지붕활하중(Lr, Roof Live Load)- 적설하중(S, Snow Load)- 풍하중(W, Wind Load)- 지진하중(E, Earthquake Load)- 횡압력(H, Hydraulic and Soil Pressure)- 온도하중(T, Thermal Load)- 유체압(F, Fluid Pressure)- 운반하중(M, Moving Load)- 빗물하중(R, Rain Load)- 기타하중(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돌발하중 Ak 등)통상의 건축물 구조설계..
앞서 KBC카테고리 1편에서는 금번에 개정된 건축구조기준 KBC2016에서 변경된 내용을 개략 살펴봤고, 2편부터는 각 변경내용 및 변경되지 않았지만 중요한 내용에 대해 조금 깊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건축구조기준의 목적, 건축물의 중요도, 구조설계법 □ 건축구조기준 KBC2016의 목적 건축구조기준의 목적은 '건축물 및 공작물의 안전성, 내구성, 사용성, 친환경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안전성(safety)은 건축구조물의 예상되는 수명기간 동안 최대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구조물의 성능, 내구성(sustainabiluty, durability)은 건축구조물의 안전성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장기간에 걸친 외부의 화학적, 기계적, 물리적작용에 저항하여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처음 설계조건 대로 ..
건물지진규모분석연구서비스(주)
e-mail : bmtars@nate.com
IN KOREA
CALL : 1833-9875
FAX : 0505-300-9875
OUT OF KOREA
CALL : 82-1833-9875
FAX : 82-505-300-9875
- Total
- Today
- Yesterday